공모전 최종 수상작품 > 일반자료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일반자료실

공모전 최종 수상작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의제21 작성일16-03-28 19:53 조회145회 댓글0건

본문

2010/08/03 09:38
 
 

「제4회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이야기 사진공모전」심사결과 발표

 

  ◇ 대상에 <큰소쩍새>(이성원)를 비롯하여 총 28점 선정

  관찰이 어려운 호사북방오리, 쇠솔딱새의 번식 등 의미있는 작품 다수 입선

 

 

 

환경부와 내셔널지오그래픽 한국판이 우리나라 생물자원 보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5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공동주최한 제4회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이야

   기 사진  공모전” 수상작을 선정, 발표하였다.

  ○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 이야기” 사진공모전은 지난 2007년을 시작으로 올해 4회째를 맞고

      있으며,

  ○ 올해는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 양서․파충류와 식물 등 다양한 분류군으로 총 1,302 작품의

      사진이 접수되어 28점이 선정되었다.

 

이번 공모전에서 대상으로 선정된 <큰소쩍새(이성원 작)>는 국제적 멸종위기종(CITES) 및

   환경부에서 포획금지 야생동물로 지정한 종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겨

   울철새이자 텃새로 서식한다.

   ○ 생김새는 올빼미와 비슷하며, 보통 소쩍새와는 달리 눈의 홍채가 붉은 것이 특징이다. 낮에

       는 어두운 숲에서 쉬고 주로 저녁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라 일반인이 관찰하기 쉽지 않으

       며,

   ○ 작은 동물을 주로 먹는 큰소쩍새는 최근 오염된 먹이로 인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번식지를 비롯한 월동지와 서식지의 파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

       다.

 

심사위원들은 이러한 종 자체의 특성과 함께 촬영이 까다롭고 야행성인 피사체를 순간포

   착 했다는 점과 어미새의 날개 짓에 담긴 생동감 자연스럽게 담아낸 표현력을 높이 평가,

    <큰소쩍새>를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 이번 사진공모전 심사에 참여한 조류사진 전문가 서정화 심사위원은  “희귀성 동물인데다가

      야행성 동물이라 촬영이 매우 어려웠을 것이다. 히 새끼에게 줄 먹이를 잡아 날아오는 어미

      새의 모습과 이소를  앞둔 새끼새의 모습이 모두 담겨있어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사진”이

      라며, “해가 거듭될수록 이처럼 좋은 사진이 점차 늘어나서 우열을 가리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 외에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물 빠진 논의 잘려진 벼와 조화롭게 배치된 매화마

    름”을 사진에 담아낸 <매화마름>(마용주)과, 멸종위기야생 동·식물 Ⅰ급으로 “새끼에게 먹이

    를 주고 있는 매”의 모습을 순간 포착한 <매>(지남준) 두 작품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이번 사진 공모전에서 지난 2009년 1월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관찰된 호사북방오리

     식기록이 드문 쇠솔딱새를 촬영한 사진이 접수되어 생물 다양성의 의미를 더했다.

 

이번 사진공모전에서는 우수상 5점과 입선 20점을 포함해 총 28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

    며, 우수상 이상 수상자에게는 환경부 장관상과 상금이 부상으로 주어진다. 시상식은 10월 16

    일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릴 예정이며, 시상식을 전후로 서울 시청광장 등에서 전시회도 진행된

    다.

  ※ 자세한 수상 내용은 환경부와 내셔널지오그래픽 한국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

  

 

붙임 : 제4회 수상작, 수상작 리스트 및 시상내역

  

   

 

공모전 최종 수상작품

 

 

 ◇ 제4회 대상 수상작 <큰소쩍새>(이성원)

대상 수상작 큰소쩍새

 

 ◇ 제4회 최우수상 수상작 <매화마름>(마용주)

최우수상 수상작 매화마름

 

 ◇ 제4회 최우수상 수상작 <매>(지남준)

최우수상 수상작 매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동강할미꽃>(김영식)

우수상 수상작 동강할미꽃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담비>(김대환)

우수상 수상작 담비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유혈목이>(이운호)

우수상 수상작 유혈목이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해국>(서재희)

우수상 수상작 해국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계곡 건너기>(임홍철)

우수상 수상작 계곡 건너기

 

 ◇ 제4회 입선 수상작 <곤충의 폭군 파리매>(이정섭)

입선 수상작 곤충의 폭군 파리매

 

 ◇ 제4회 입선 수상작 <매화마름>(박종학)

입선 수상작 매화마름

 

 ◇ 제4회 입선 수상작 <삵의 쇠기러기 사냥>(모인호)

입선 수상작 삵의 쇠기러기 사냥

 

 ◇ 제4회 입선 수상작 <하늘다람쥐>(김태구)

입선 수상작 하늘다람쥐

 

 ◇ 제4회 입선 수상작 <털보깡총거미>(이정섭)

입선 수상작 털보깡총거미

 

 ◇ 제4회 입선 수상작 <삵의 만찬>(김규석)

입선 수상작 삵의 만찬

 

 ◇ 제4회 입선 수상작 <광릉요강꽃>(마용주)

입선 수상작 광릉요강꽃

 

 ◇ 제4회 입선 수상작 <기선제압>(조경애)

입선 수상작 기선제압

 

 ◇ 제4회 입선 수상작 <능구렁이>(이운호)

입선 수상작 능구렁이

 

 ◇ 제4회 입선 수상작 <혹고니>(안수용)

입선 수상작 혹고니

 

 ◇ 제4회 입선 수상작 <갯패랭이>(박해경)

입선 수상작 갯패랭이

 

 ◇ 제4회 입선 수상작 <긴꼬리딱새>(강영호)

입선 수상작 긴꼬리딱새

 

 ◇ 제4회 입선 수상작 <고마로브집게벌레의 비상>(강인숙)

입선 수상작 고마로브집게벌레의 비상

 

 ◇ 제4회 입선 수상작 <호반새>(김태구)

입선 수상작 호반새

 

 ◇ 제4회 입선 수상작 <물장군의 부성애>(양경식)

입선 수상작 물장군의 부성애

 

 ◇ 제4회 입선 수상작 <쇠물닭 가족의 아침>(양해석)

입선 수상작 쇠물닭 가족의 아침

 

 ◇ 제4회 입선 수상작 <쇠솔딱새의 모정>(윤갑영)

입선 수상작 쇠솔딱새의 모정

 

 ◇ 제4회 입선 수상작 <호사북방오리>(김대환)

입선 수상작 호사북방오리

 

 ◇ 제4회 입선 수상작 <황조롱이의 생존>(모인호)

입선 수상작 황조롱이의 생존

 

 ◇ 제4회 입선 수상작 <사랑>(윤갑영)

입선 수상작 사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경기도 광주시 파발로 51 / TEL.031-769-7111 / FAX.031-766-2580
CopyrightsⒸ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