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하수는 새로운 생물종의 보고 > 일반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5431
커뮤니티
일반자료실

우리나라 지하수는 새로운 생물종의 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의제21 작성일16-03-28 19:57 조회135회 댓글0건

본문

2011/02/10 11:47
 
 

“우리나라 지하수는 새로운 생물종의 보고”

옛새우 신종 3종 세계최초로 발견

 

 ◇ 국립생물자원관 무척추동물연구과는 2010년 연구사업을 통해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기도 등지의 지하수에서 옛새우 신종 3종을 발굴

 ◇ 발굴된 신종은 지하수 생태계에 유입되는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지하수 서식 갑각류로서 지하수환경의 건강성 평가와 수질정화 및 환경지표 생물종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음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종천)은 ‘10년 ‘전략지역 생물종 다양성 조사’ 사업을 통해 지하수에서 서식하는 옛새우 신종 3종을 세계 최초로 발굴하고 이를 SCI급 국제학술지 발표를 통하여 공식 등재하는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 옛새우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알려져 있는 갑각류로서, 지구형성이론의 하나인 대륙이동설의 중요한 생물학적 증거로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160여종이, 아시아에는 국내 4종을 포함 26종만이 보고되었을 뿐이다.

 

□ 이번 연구결과 처음 알려진 옛새우는 고하목 파라바티넬리대과(Parabathynellidae)에 속하는 종들로서, 각각 충남 옥천, 경북 영주, 경기 여주 등 발견된 지명에 따라 각각 Allobathynella
yeongjuensis
(알로바티넬라 영주엔시스), Allobathynella okcheonensis (알로바티넬라 옥천엔시스), 그리고 Eobathynella yeojuensis (에오바티넬라 여주엔시스)로 명명될 예정이다.

  ○ 국립생물자원관 무척추동물연구과는 그동안 국내 및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모든 옛새우류 종들에 대한 정보를 비교·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아시아에 분포하는 옛새우의 기원지가 한국을 포함한 극동아시아임을 동시에 규명하였다.

 

한편, 금번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지하수가 무척추동물의 신종·미기록종의 보고임이 밝혀졌다. 

  ○ 선진국에서는 100년 전부터 이미 지하수의 생물상조사와 그 활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온 반면, 국내의 경우 지하수 생태계는 미개척 연구분야로서, 본 연구를 통하여 처음으로 국내 지하수에 노벌레, 옆새우, 등각류를 포함한 갑각류 외에 원생동물, 편형동물, 선충, 곰벌레, 환형동물, 물응애, 곤충 등 다양한 미기록 생물종들이 서식함이 밝혀졌다.

  ○ 이들 생물들은 지하수에 유입되는 유기물질의 분해를 통하여 수질정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해당분야 연구의 선도국인 독일에서는 지하수의 건강성 평가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 토착생물을 발굴하는 자생생물발굴사업 등을 통하여 이번에 알려진 지하수 생물의 발굴을 확대해 나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지표종의 개발, 환경오염탐지 및 등급화 기술개발과 수질정화 등 자생생물을 이용한 환경산업의 확대방안도 함께 연구할 계획이다.

 

 

붙임  관련그림 3매.  끝.

 

 

담당부서 line 국립생물자원관  (032-590-7261) line 작성자 line 조주래
 
첨부파일 line  110209_옛새우보도자료3신종.hw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그누보드5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경기도 광주시 파발로 51 / TEL.031-769-7111 / FAX.031-766-2580 CopyrightsⒸ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