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
![]() |
(역사적 배경) 녹색성장은 2005년 환경부와 UNESCAP이 공동 주최한 “아·태 환경과 개발에 관한 장관회의(MCED)”에서 우리나라가 주창하여 회의결과인 “서울이니셔티브(SI)”를 통해 채택 |
|
|
![]() |
우리나라의 압축·고도성장에 따른 환경훼손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주창된 개념 |
![]() |
지속가능발전 개념(경제발전·사회발전·환경보호의 통합)의 추상성 및 광범위성을 보완하기 위해 도출된 개념 |
![]() |
녹색성장은 경제성장을 하되, 경제성장의 패턴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시키자는 개념 |
|
※ 녹색성장의 개념 도출과정에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산업연구원, 조세연구원 및 국내 학계의 경제 및 환경학자들이 참여 |
|
|
![]() |
(개념)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
|
|
![]() |
녹색성장은 환경을 보호하려는 정부·민간의 행동인 ‘환경적 성과(Environmental Performance)‘를 환경용량을 고려한 경제성장인 ’환경적 지속가능성(Environmental Subtainability)‘과 연결시켰을 때 가능하며, |
![]() |
이를 위한 주요 정책수단으로 환경친화적인 세제도입(Eco-Tax Reform), 기업의 환경정보 공개 등을 제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