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품에서 방출되는 VOC, 폼알데하이드 관리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의제21 작성일16-03-28 16:39 조회131회 댓글0건본문
생활용품에서 방출되는 VOC, 폼알데하이드 관리 추진
◇ 금년말까지 소파·침대 등의 원자재로서 폼알데하이드의 주 방출원인 목질판상제품 관리방안 마련 ◇ 2단계로 가구류 및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오염물질 방출 가이드라인 제정 추진 |
□ 환경부는 생활용품의 오염물질 방출량 조사결과와 함께 실내공기 오염원이나 건축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미흡했던 생활용품에 대한 대책을 발표하였다.
□ '07년 국립환경과학원(원장:고윤화)에서 가구 및 전기·전자제품 등 24종의 생활용품에 대한 총
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및 폼알데하이드(HCHO) 방출량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 TVOC방출량은 가구류 7종 평균 5.79㎎/h(7일 기준), 생활가전 7종 평균 3.17㎎/h(가동시), 사무
기기 3종 평균 0.46㎎/h(가동시), 장난감·의류 7종 평균 0.016㎎/h(7일 기준)로 나타나 가구류의
방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 HCHO방출량은 가구류 평균 0.74㎎/h(7일 기준), 생활가전 평균 0.11㎎/h(가동시), 사무기기
평균 0.07㎎/h(가동시), 장난감·의류 평균 0.025㎎/h(7일 기준)로 역시 가구류의 방출량이 가장
많았다.
□ 미국 GREENGUARD 인증(민간단체 인증)과 기준을 비교하기 위해 제품별 방출량을 32㎥
(시간당 환기율 0.72)의 방출농도로 환산할 경우 가구류 4종이 그린가드 기준을 초과하였다.
○ TVOC는 침대(0.343㎎/㎥), 장롱(0.316㎎/㎥), 소파(0.939㎎/㎥)가 가구류 기준치(0.25㎎/㎥)를
초과하였으며,
○ HCHO는 소파(0.124㎎/㎥), 식탁(0.033㎎/㎥)이 가구류 기준치(0.03㎎/㎥)를 초과하였다.
< GREENGUARD 인증기준 >
구 분 |
TVOC(㎎/㎥) |
HCHO(㎎/㎥) |
|
가구류 |
0.25 |
0.03 |
|
사무기기 |
흑백 |
0.4 |
0.04 |
컬러 |
0.7 |
0.07 |
□ 특히, 가구류에 대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염물질 방출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 TVOC는 28일 후에 평균 81%가 감소하여 초기에 방출량이 대폭 감소된 반면, HCHO는 28일
후에도 평균 30%의 저감에 불과하여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가구류에서 지속적으로 HCHO가 방출되는 원인은 내부 재료로 폼알데하이드가 많이 방출되는
목질판상재(합판, 파티클보드 등)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으로 이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환경부는 그간 건축자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용품에 대한 오염물질 관리가 미흡하였다고
판단하고 향후 적극 보완해 나가기로 하였다.
○ 먼저, 현재 진행중인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금년말까지 목질판상제품의 폼알데하이드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법령 개정에 착수할 계획이다.
○ 최근 국제적으로도 “목질판상제품”의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규제 등 관리를 강화하는 추세이며,
향후 대책 마련시 관련 산업계 의견과 함께 외국의 사례도 적극 참고할 예정이다.
|
<외국의 목질판상제품 관리현황> |
|
|
|
|
·일본은 폼알데하이드 기준(1.5㎎/L)을 초과하는 목질판상제품을 사용제한 ·대만도 '07년부터 기준을 초과하는 합판 등의 제조·수입 금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기준을 초과하는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MDF)에 대한 제조·수입·사용금지('09년 시행예정) |
○ 또한, 생활용품에 대해 지속적인 오염물질 방출량 평가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방출량 가이드
라인을 제정할 계획이다.
- 다만, 국내에 표준화된 방출시험방법이 없고 생활용품의 종류와 재질 등이 매우 다양하여 추가
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한 점을 감안,
- 내년에는 방출시험법 제정과 함께 지속적인 조사·연구를 추진한 뒤 '10년부터 가구류를 시작
으로 연차적으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 가이드라인 제정과 함께 환경마크 인증기준 강화 등 오염물질 저방출 생활용품에 대한 정보제공
을 강화하고 소비자 사용지침 등을 개발하여 적극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 참고 자료 >
붙임 : 생활용품 방출 오염물질 현황 및 관리방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