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도 자신들만의 서식공간을 선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의제21 작성일16-03-28 19:57 조회147회 댓글0건본문
|
||||||||||||||||||||||||||
새들도 자신들만의 서식공간을 선호
□ 국립환경과학원은 기후, 지형, 인문학적 영향이 다른 내륙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총 48개의 서식지 유형에 대한 생물종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서식지 유형에 대한 분류는 환경부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구분
- 연구대상지역은 강원도 강릉시, 춘천시, 충북 단양군, 대전시 유성구, 충남 서천군 등 5개
지역에서 48개 서식지 유형 선정
□ 서식지 면적, 지질, 고도, 경사도, 수계로부터의 거리, 식생 영급(齡級), 상관우점군락, 식피율(植被率) 등 8개 인자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 기법으로 조류의 서식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 관찰된 조류의 모든 종과 개체수를 토대로 모든 서식지 유형에 대한 Bray-Curtis 통계기법을 통해
유사도 분석을 수행
※ Bray-Curtis Similarity Index : 각 정점간의 유사도(similarity)를 파악하기 위하여 출현 종과 개체수
자료를 이용한 통계분석 기법
□ 서식지 유형에 대한 유사도 분석 결과,
-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 산림서식지간 유사도는 50%이상인 반면 산림지역과 타 서식지
유형과는 30%이하로 나타나 산림지역에 서식하는 조류는 다른 유형에 서식하는 조류와 서식지를
거의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밭 지역과 도시지역에 서식하는 조류들은 50%의 유사도를 보여 이들 조류들은 서식지를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류의 서식지 유형별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특정 유형의 서식공간을 선호하는 14종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동 유형의 서식공간이 먹이원의 확보나 잠자리로 이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서식지 유형에 대한 주요 종의 선호요인은 다음과 같다.
․ 진박새 : 다른 박새류보다 작은 몸집과 가는 부리를 이용해 솔잎과 솔방울 사이의 작은 곤충을
꺼내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침엽수림에서 주로 서식
․ 오색딱다구리 : 주먹이원인 대형딱정벌레의 유충이 참나무를 비롯한 활엽수림에 서식하기 때문에
활엽수림에서 관찰
․ 참새 :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먹이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서 도시지역에서도 많이 관찰되는 새
․ 원앙 : 오리류 중에서는 드물게 숲의 나무구멍에서 번식을 하므로 숲이 있는 근방의 호수 또는
저수지에서 쉽게 관찰
□ 특히 단양지역에서 조사된 산솔새의 경우 다른 종에 비해 다음과 같이 특정 유형의 서식지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고도 173~568m, 경사 53.4°이하, 수계로부터의 거리 약 100m 정도인 석회암과 사암이 우세하며,
직경 18~28㎝ 정도의 굴참나무 숲이 안정된 층위구조를 보이는 곳이었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서식지 유형에 따른 서식가능 종의 분포 및 미소 서식지 분석을 ‘11년까지 마무리하여 서식지 평가 모델링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종별 서식지 복원 및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 1. 서식지 유형 분류 및 연구 대상 서식지
2. 내륙 5개 도시별 서식지 유형과 조사지점
3. 조류의 서식지 유형 및 출현종간 유사도 분석 결과
4. 조류의 서식지 유형별 선호도 비율(%) 분석 결과
5. 단양 활엽수림 지역의 산솔새 미소 서식환경 분석 결과
6. 관련 사진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