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도 자신들만의 서식공간을 선호 > 일반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5431
커뮤니티
일반자료실

새들도 자신들만의 서식공간을 선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의제21 작성일16-03-28 19:57 조회147회 댓글0건

본문

2011/02/14 16:27
 
 
새들도 자신들만의 서식공간을 선호
 
 
◇ 산솔새와 딱따구리류는 활엽수림, 진박새는 침엽수림, 참새는 도시지역 등 특정 서식공간을 좋아하는 14종 확인
◇ 내륙 5개 도시, 48개 서식지 유형의 조류 분포 결과, 지리정보시스템으로 분석
 
□ 국립환경과학원은 기후, 지형, 인문학적 영향이 다른 내륙 5개 도시를 대상으로 총 48개의 서식지 유형에 대한 생물종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서식지 유형에 대한 분류는 환경부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구분
  - 연구대상지역은 강원도 강릉시, 춘천시, 충북 단양군, 대전시 유성구, 충남 서천군 등 5개
    지역에서 48개 서식지 유형 선정
□ 서식지 면적, 지질, 고도, 경사도, 수계로부터의 거리, 식생 영급(齡級), 상관우점군락, 식피율(植被率) 등 8개 인자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 기법으로 조류의 서식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 관찰된 조류의 모든 종과 개체수를 토대로 모든 서식지 유형에 대한 Bray-Curtis 통계기법을 통해
    유사도 분석을 수행
  ※ Bray-Curtis Similarity Index : 각 정점간의 유사도(similarity)를 파악하기 위하여 출현 종과 개체수
  자료를 이용한 통계분석 기법
□ 서식지 유형에 대한 유사도 분석 결과,
  -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 산림서식지간 유사도는 50%이상인 반면 산림지역과 타 서식지
    유형과는 30%이하로 나타나 산림지역에 서식하는 조류는 다른 유형에 서식하는 조류와 서식지를
    거의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밭 지역과 도시지역에 서식하는 조류들은 50%의 유사도를 보여 이들 조류들은 서식지를
    서로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류의 서식지 유형별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특정 유형의 서식공간을 선호하는 14종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동 유형의 서식공간이 먹이원의 확보나 잠자리로 이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서식지 유형
주요 서식종
침엽수림 지역
참매, 진박새 등 2종
활엽수림 지역
산솔새, 오색딱다구리 등 2종
내륙습지 지역
흰뺨검둥오리,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2종
산지하천 지역
노랑할미새 1종
밭 지역
힝둥새 1종
도시지역
집비둘기, 참새 등 2종
호수지역
원앙, 논병아리 등 2종
위락시설 지역
조롱이, 물까치 등 2종
 
  - 서식지 유형에 대한 주요 종의 선호요인은 다음과 같다.
․ 진박새 : 다른 박새류보다 작은 몸집과 가는 부리를 이용해 솔잎과 솔방울 사이의 작은 곤충을
                꺼내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침엽수림에서 주로 서식
․ 오색딱다구리 : 주먹이원인 대형딱정벌레의 유충이 참나무를 비롯한 활엽수림에 서식하기 때문에
                          활엽수림에서 관찰
․ 참새 :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먹이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서 도시지역에서도 많이 관찰되는 새
․ 원앙 : 오리류 중에서는 드물게 숲의 나무구멍에서 번식을 하므로 숲이 있는 근방의 호수 또는
             저수지에서 쉽게 관찰
□ 특히 단양지역에서 조사된 산솔새의 경우 다른 종에 비해 다음과 같이 특정 유형의 서식지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고도 173~568m, 경사 53.4°이하, 수계로부터의 거리 약 100m 정도인 석회암과 사암이 우세하며,
    직경 18~28㎝ 정도의 굴참나무 숲이 안정된 층위구조를 보이는 곳이었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서식지 유형에 따른 서식가능 종의 분포 및 미소 서식지 분석을 ‘11년까지 마무리하여 서식지 평가 모델링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종별 서식지 복원 및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 1. 서식지 유형 분류 및 연구 대상 서식지
                2. 내륙 5개 도시별 서식지 유형과 조사지점
                3. 조류의 서식지 유형 및 출현종간 유사도 분석 결과
                4. 조류의 서식지 유형별 선호도 비율(%) 분석 결과
                5. 단양 활엽수림 지역의 산솔새 미소 서식환경 분석 결과
                6. 관련 사진

첨부파일 line  110211_새들이_좋아하는_서식공간_과학적으로_알아본다.hw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그누보드5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경기도 광주시 파발로 51 / TEL.031-769-7111 / FAX.031-766-2580 CopyrightsⒸ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