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 최종 수상작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의제21 작성일16-03-28 19:53 조회144회 댓글0건본문
|
|||
「제4회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이야기 사진공모전」심사결과 발표
□ 환경부와 내셔널지오그래픽 한국판이 우리나라 생물자원 보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5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공동주최한 “제4회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이야 기 사진 공모전” 수상작을 선정, 발표하였다. ○ “대한민국 10만 가지 보물 이야기” 사진공모전은 지난 2007년을 시작으로 올해 4회째를 맞고 있으며, ○ 올해는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 양서․파충류와 식물 등 다양한 분류군으로 총 1,302 작품의 사진이 접수되어 28점이 선정되었다.
□ 이번 공모전에서 대상으로 선정된 <큰소쩍새(이성원 작)>는 국제적 멸종위기종(CITES) 및 환경부에서 포획금지 야생동물로 지정한 종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겨 울철새이자 텃새로 서식한다. ○ 생김새는 올빼미와 비슷하며, 보통 소쩍새와는 달리 눈의 홍채가 붉은 것이 특징이다. 낮에 는 어두운 숲에서 쉬고 주로 저녁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라 일반인이 관찰하기 쉽지 않으 며, ○ 작은 동물을 주로 먹는 큰소쩍새는 최근 오염된 먹이로 인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번식지를 비롯한 월동지와 서식지의 파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 다.
□ 심사위원들은 이러한 종 자체의 특성과 함께 촬영이 까다롭고 야행성인 피사체를 순간포 착 했다는 점과 어미새의 날개 짓에 담긴 생동감을 자연스럽게 담아낸 표현력을 높이 평가, <큰소쩍새>를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 이번 사진공모전 심사에 참여한 조류사진 전문가 서정화 심사위원은 “희귀성 동물인데다가 야행성 동물이라 촬영이 매우 어려웠을 것이다. 특히 새끼에게 줄 먹이를 잡아 날아오는 어미 새의 모습과 이소를 앞둔 새끼새의 모습이 모두 담겨있어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사진”이 라며, “해가 거듭될수록 이처럼 좋은 사진이 점차 늘어나서 우열을 가리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 그 외에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물 빠진 논의 잘려진 벼와 조화롭게 배치된 매화마 름”을 사진에 담아낸 <매화마름>(마용주)과, 멸종위기야생 동·식물 Ⅰ급으로 “새끼에게 먹이 를 주고 있는 매”의 모습을 순간 포착한 <매>(지남준) 두 작품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이번 사진 공모전에서 지난 2009년 1월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관찰된 호사북방오리와 번 식기록이 드문 쇠솔딱새를 촬영한 사진이 접수되어 생물 다양성의 의미를 더했다.
□ 이번 사진공모전에서는 우수상 5점과 입선 20점을 포함해 총 28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 며, 우수상 이상 수상자에게는 환경부 장관상과 상금이 부상으로 주어진다. 시상식은 10월 16 일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릴 예정이며, 시상식을 전후로 서울 시청광장 등에서 전시회도 진행된 다. ※ 자세한 수상 내용은 환경부와 내셔널지오그래픽 한국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
붙임 : 제4회 수상작, 수상작 리스트 및 시상내역
공모전 최종 수상작품
◇ 제4회 대상 수상작 <큰소쩍새>(이성원)
◇ 제4회 최우수상 수상작 <매화마름>(마용주)
◇ 제4회 최우수상 수상작 <매>(지남준)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동강할미꽃>(김영식)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담비>(김대환)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유혈목이>(이운호)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해국>(서재희)
◇ 제4회 우수상 수상작 <계곡 건너기>(임홍철)
◇ 제4회 입선 수상작 <곤충의 폭군 파리매>(이정섭)
◇ 제4회 입선 수상작 <매화마름>(박종학)
◇ 제4회 입선 수상작 <삵의 쇠기러기 사냥>(모인호)
◇ 제4회 입선 수상작 <하늘다람쥐>(김태구)
◇ 제4회 입선 수상작 <털보깡총거미>(이정섭)
◇ 제4회 입선 수상작 <삵의 만찬>(김규석)
◇ 제4회 입선 수상작 <광릉요강꽃>(마용주)
◇ 제4회 입선 수상작 <기선제압>(조경애)
◇ 제4회 입선 수상작 <능구렁이>(이운호)
◇ 제4회 입선 수상작 <혹고니>(안수용)
◇ 제4회 입선 수상작 <갯패랭이>(박해경)
◇ 제4회 입선 수상작 <긴꼬리딱새>(강영호)
◇ 제4회 입선 수상작 <고마로브집게벌레의 비상>(강인숙)
◇ 제4회 입선 수상작 <호반새>(김태구)
◇ 제4회 입선 수상작 <물장군의 부성애>(양경식)
◇ 제4회 입선 수상작 <쇠물닭 가족의 아침>(양해석)
◇ 제4회 입선 수상작 <쇠솔딱새의 모정>(윤갑영)
◇ 제4회 입선 수상작 <호사북방오리>(김대환)
◇ 제4회 입선 수상작 <황조롱이의 생존>(모인호)
◇ 제4회 입선 수상작 <사랑>(윤갑영)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