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가 보인다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5431
커뮤니티
 
광주시에 대하여

본문

 

 

 

 

 

 

 

 

 

 

 

경기도 중앙에 있는 광주시(廣州市)는 동쪽으로 여주·양평군, 서쪽으로 성남시, 남쪽으로 용인·이천시에 접하고, 북쪽으로는 하남시, 그리고 한강을 사이에 두고 남양주시·양평군에 접한다.

 

한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검단지맥’은 검단산을 중심으로 구릉이 많아 기복이 매우 심하고, 평지가 적어 경지면적은 총면적의 20%가 조금 넘는다. 한북정맥의 문수봉(403m)에서 발원해 용인을 지나 북류하면서 한강에 합류하는 경안천(京安川)은 광주의 가장 큰 물줄기다. 목현천, 곤지암천 등 광주의 작은 하천 대부분이 경안천에 합류하는데, 경안천 유역에 발달한 좁은 충적평야는 관개가 잘 되어 토지의 생산력이 높다.

내륙부에 있어 한서의 차가 심하고 강수량은 비교적 많다. 연평균 기온은 11℃이고, 1월 평균기온 -4.7℃, 8월 평균기온 25.5℃다. 연평균강수량은 1,300mm 내외다.

 

광주군은 본래 마한의 일부로서 고조선의 준왕이 위만에 쫓겨 남하해서 세운 회안국(淮安國)의 일부였다고 추정하고 있다. 백제의 근초고왕은 371년 이곳에 도읍을 정하고 한성(漢城)이라 했다. 개로왕 때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60여 년간 고구려 땅이 됐으며, 551년(성왕 29) 나제동맹으로 다시 백제땅이 됐으나 553년에 신라 진흥왕에게 빼앗겨 신라의 한산주(漢山州)가 됐다.

 

756년(신라 경덕왕 l5) 한주(漢州)라고 고쳤다가 940년(태조 23) 광주가 됐다. 983년(성종 2) 12목(牧)을 둘 때 주(州)가 됐고, 995년에는 봉국군(奉國郡)이라 하고 관내도(關內道)에 속하게 했다. 조선 세조 때에는 진(鎭)을 두고 1목(牧:여주)·1도호부(都護府:이천)·1군(郡:양근)·5현(縣:지음·음죽·양지·죽산·광주)을 두었다. 1618년(광해군 10)에 부(府)로 승격했다. 1626년(인조 4)에 남한산성을 쌓아 주치(州治)를 성안으로 옮기고, 1795년(정조 19)에 유수(留守)를 두었다. 1895년(고종 32) 군(郡)이 됐다.

 

196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구천·언주·중대·대왕면의 일부가 서울로 편입되고, 1973년 신설된 성남시에 중부면 일부와 대왕·낙생·돌마면이 편입됐다. 1979년에 광주면, 1980년 동부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되고, 1989년 동부읍과 서부면이 합쳐 하남시로 분리됐다. 2001년 광주시로 승격했다. 현재 행정구역은 3읍 4면 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청은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에 있다.

그누보드5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경기도 광주시 파발로 51 / TEL.031-769-7111 / FAX.031-766-2580 CopyrightsⒸ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보기